[미나비리스] '소소한 자연과 문학이야기, 약간의 아쉬움' [작은 것이 아름답다 7월호: 녹색연합]
Category : 이야기 Ⅱ/기타 Date : 2011. 7. 20. 17:28 Writer : 비회원
|
안타깝지만 별점을 준다면 세 개 정도이다.
설마 이 게시판을 보는 작아 직원은 없겠지... 후덜덜. 전에 작아 말단직원한테 리뷰를 이상한 문체로 쓴다고 마구 까여서 이런 별점을 주는 것이 절대 아니라고 말하고 싶다;;; 저자 성격을 기준으로 책을 섣불리 판단하지 않아야 한다는 기본적인 상식을 나도 알고 있다고요. 단지... 내용이 좀 식상하다고 말하고 싶을 뿐이다.
아무튼 이번에 올라온 내용이 <자연과 생태 7월호>에 올라온 내용과 너무 비슷하다. 남이섬 버듀 페스티벌을 소개하려고 나름 노력한 것 같은데, 생생한 컬러와 자세한 소개가 들어있는 생태전문잡지로 내용을 이미 본 나로서는 그닥 흥미를 끌지 못하는 주제였다. 그리고 뭔가 기자가 물어보고 싶은 것만 물어봐서 작성한 것만 같은 글들... 그냥 발자국만 쿡 찍고 간 듯한 느낌이 들어서 아쉬웠다. 본인은 그냥 가격이 싸서 한정된 내용이 들어간 것이라고 이해하고 싶다. 후반부에 새에 대한 에피소드들이 구수한 이야기로 펼쳐져 있었는데, 그 내용은 정말 좋았다. 차라리 버듀페스티벌을 아주 간단히 소개하고 에피소드들에 등장하는 새들의 생태에 대해서 더 자세히 이야기하면 재미있을 뻔했다. 조사하면 자료는 얼마든지 찾을 수 있었을텐데 말이다. 특종을 잡으려는 노력도 좋지만 자연과 예술을 하나로 만드려는 그 정신을 잊어버리지 않았으면 좋겠다.
시인 도종환 씨의 글이 아주 좋았다. 본인이 개인적으로 시인들의 글을 좋아하긴 하지만, 도종환 씨는 정말 간단한 말로 사람의 핵심을 찌를 줄 안다. 잡지 중후반부의 코너에서도 시인들이 현실적이고 핵심을 찌르는 시를 써야 한다는 멘트가 나온다. 박노해 씨 정도의 시라면 좀 부담스럽고 꺼려지지만(...) 어느 정도는 옳은 소리라고 생각한다. 서민의 밥한끼 먹어보지 않고 시와 문학을 논하는 사람들이 예술을 현실과 동떨어진 존재로 만들어버린다. 본인도 예술에 대해선 잘 모르지만, 어쨌던 예술도 사람이 만든 인공적인 것이 아니던가. 사람들이 예술을 친숙하게 접할 계기가 만들어졌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.
몸이 급격히 안 좋아지셔서 시골로 내려가 황토집짓고 사시는 도종환씨. 최근 사진을 보니 환한 웃음이 매우 건강해보였다.
소개 : 네이버 블로그 '마호가니 서재에서 헤드폰을 끼다(바로가기)'운영
책취향 : 우울, 반전, 잔인함, 선정성, 사회에 대한 분노표출, 영미고전소설, 동화책
'이야기 Ⅱ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담쌤, 요약의 전설 1탄 [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1:정진홍] (1) | 2011.07.22 |
---|---|
[차수정] '평범한 안정이 아닌 특별한 기회를 만드는 이들의 비밀'[서른에서 멈추는 여자 서른부터 성장하는 여자:아리카와 마유미] (0) | 2011.07.22 |
[미나비리스] '소소한 자연과 문학이야기, 약간의 아쉬움' [작은 것이 아름답다 7월호: 녹색연합] (0) | 2011.07.20 |
[느리게 성공하기], 김희정 (0) | 2011.07.20 |
[상처 받은 사람들], 도스또예프스끼 (0) | 2011.07.20 |
[지하로부터의 수기], 도스또예프스끼 (0) | 2011.07.20 |